Lead Prioritization

Lead Prioritization

Lead Scoring and Management → Lead Prioritization
Lead Prioritization
리드 우선순위 지정

개요


정의

리드 우선순위 지정은 브랜드에 대한 반응 여부 및 정도를 고려하여 영업 기회를 유형화하고, 각 특성에 따른 마케팅 채널별 대응 시나리오를 기획, 실행하여 고객 만족도 및 판매 전환율을 제고하려는 활동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각 브랜드에 대한 경쟁 요소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 확보한 영업 기회를 판매 전환까지 관리할 수 있는 운영 체계와 SFA* 시스템 도입을 통해 자동화 기반으로 실시간 고객 대응이 가능한 인프라가 수반되어야 한다.
본 주제는 영업 기회 관리를 위한 운영 체계 도입 및 인프라가 갖춰진 것으로 가정하며, 글로벌 환경에 맞게 각 원칙을 현지화 하여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글로벌 브랜드에 따라 리드에 대한 정의, 고객 접촉/대응 채널 유형 등 상이한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으므로 현지 상황을 고려하여 구체화 단계가 선행되어야 한다.
*SFA (Sales Force Automation) : 영업 관리 및 판매 활동을 자동화하여 판매 효율 및 효과성을 높이고 영업 팀의 시간을 절약하는 시스템

목표

1. 리드 우선순위 운영 관리를 위한 리드 유형 세분화 기준 정의
브랜드에 대한 반응 여부 X 정도를 측정하여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도록 리드 유형을 세분화한다.
2. 리드 우선순위 유형에 따른 대응 목표 및 시나리오 유형 정의
세분화된 리드를 우선순위에 따라 대응 시 관리해야 할 목표 유형 및 시나리오를 상세화 정의한다.
3. 리드 우선순위 유형에 따른 대응 채널 믹스 전략 수립
리드 우선순위 할당 이후 계약 및 구매 전환 유도를 위한 마케팅 대응 채널 유형 및 믹스를 정의한다.

표준화 원칙

1. 리드 유형 및 우선순위 분류 기준 정의
리드 우선순위 할당은 리드 스코어의 수치 범위 (Min-Max) + Flag 여부 조합으로 당사 대응 중요도의 높고, 낮음을 판단하여 분류 기준을 관리한다.
2. 대응 목표 및 시나리오 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할당된 리드는 중요도에 따라 대응 목표를 세분화하며, "계약 · 구매 전환"을 달성하기 위한 단계별 마케팅 활동을 수행한다.
3. 대응 채널 유형 및 기준 정의
리드 우선순위 할당 이후 "계약 · 구매 전환"을 달성하기 위한 마케팅 활동을 어떠한 채널로 대응할 것인지를 정의하고 중요도에 따라 분배한다.

관련 KPI

1. 리드 유형별 대응 시간 (Response Time)
리드 우선순위 지정부터 고객 접촉*이 발생하는 최초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지표로, 고객 대응 품질 및 만족도 제고를 위한 이슈 및 개선사항 도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고객 접촉 기준은 리드 우선순위 별 대응 시나리오에 따라 서로 다르게 관리한다.
a. Hot Lead + Flag / Hot Lead : 딜러 할당 후, 최초 접촉 발생 (1st Contact)
b. Warm Lead : 콜센터 상담사와의 최초 접촉 발생 (1st Contact)
c. Cold Lead : “시승 · 견적 유도” 메시지 클릭 후, 최초 클릭 발생 (1st Click)
2. 리드 유형별 판매 전환율 (Sales Conversion Rate)
리드 우선순위에 따른 시나리오 대응 시 목표 달성 여부를 측정하는 지표로, 우선순위 별로 설계된 각 시나리오가 작동하는지 점검하고 성과에 기여도가 높고 낮은 항목을 분석하고 보완할 수 있다.
3. 리드 유형별 발신 메시지 적합도 (Contents Click Rate)
리드 우선순위에 따른 시나리오 실행 시 컨텐츠 적절성 여부를 측정하는 지표로, 시나리오에 따라 수행되는 활동이 고객의 관심 또는 행동을 유도하는데 기여했는지 분석하고 판단할 수 있다.

실행 방법론


리드 유형 및 Flag 관리 규칙 정의

표준화 원칙 1. 리드 유형 및 우선순위 분류 기준 정의
리드는 고객의 브랜드에 대한 관심 및 의향 수준에 따라 크게 3가지 유형 (Cold / Warm / Hot) 으로 구분하며, 고가망 고객을 별도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별도의 관리 지표인 Flag 체계를 운영한다.

리드 세분화 유형 정의

리드 유형은 Cold, Warm, Hot으로 구분되나, 리드 유형화 규칙은 리드 폼 발생 채널에 따라 상이하다.
1. 발생 채널 A : 리드 폼 작성을 통한 리드 수집 및 유형화
채널 A의 리드 스코어링 집계는 리드 스코어링 모델 설계↗에 따라 가로축 ‘Customer Activity Score (고객 활동 점수)’, 세로축 ‘Demographic Score (인구통계학적 점수)’로 두어 아래와 같이 Hot, Warm, Cold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notion image
2. 발생 채널 B : 회원가입을 통한 리드 수집 및 유형화
채널 B의 리드 스코어링 집계는 리드 스코어링 모델 설계↗ 에 따라 가로축 ‘Customer Activity Score (고객 활동 점수)’, 세로축 ‘Recency Score (최근성 점수) & Demographic Score (인구통계학적 점수)’로 두어 아래와 같이 분류, 관리한다.
notion image
 

Flag 관리 기준 및 규칙 정의

1. Flag 용어 정의
Flag는 법인 내 중요도가 높은 사용자로 판단될 경우 별도로 관리하기 위한 분류 체계이다.
2. Flag 지정 기준
Flag 정보는 리드 수집 항목과는 무관하며, 리드 발생 후 전환 시 확률적으로 가망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고객 정보를 포함하고 있거나 대상인 경우를 기준으로 한다. 즉, 법인 내 중요도가 높은 특정 정보를 생성된 리드가 포함하고 있을 경우 Flag를 지정한다.
Flag 는 아래와 같이 두 가지 기준에 따라 지정할 수 있다.
a. 차량 소유 여부 : (가능 시) 현재 기준으로 차량을 한 번이라도 보유 경험 있는 경우
b. 주력 차종 (또는) Flagship Model : 판매 법인 판단에 따른 지정 차종 (모델)
3. Flag 관리 규칙
a. Flag 지정이 필요한 정보 값은 위 '2. Flag 지정 기준' 에 포함된 항목에 한하여 관리한다.
b. 법인 별 Flag 에 해당하는 차량 정보 변경을 희망하는 경우, 1명의 관리자를 지정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c. 단, 기존 법인 내 지정된 Flag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는 리드와 관련된 모든 유관 담당자에게 1회 알림 메시지를 발신한다.
d. Flag 지정에 따른 리드 대응 계획은 위 ‘2. Flag 지정 기준' 유형 별 상세 마케팅 시나리오를 설계, 구축해야 한다.

대응 목표 및 유형 별 시나리오

표준화 원칙 2. 대응 목표 및 시나리오 정의

대응 목표 유형 및 시나리오

리드 우선순위에 따른 대고객 대응 목표는 크게 4가지 항목으로 구분, 관리한다. 대고객 대응 목표는 대응 채널 별 시나리오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되어 운영되며, 표준화 원칙 외 시나리오 설계 시 수정 및 반영할 수 있다.
대응 목표 유형
대응 목표 유형 별 시나리오
1. 추천
(기존 고객) 멤버십 가입 (또는) 지인에게 차량 추천 프로모션 제공
2. 관심 유도
당사 제품 정보 (또는) 온, 오프라인 행사 (또는) 제휴, 설문 마케팅 프로그램 제공
3. 방문 · 시승
당사 제품 홍보를 위한 쇼룸 방문 (또는) 시승 신청 유도 프로그램 제공
4. 계약 · 구매
당사 구매 상담 요청 (또는) 견적 신청 유도 프로그램 제공

대응 채널 유형 및 관리 기준 (채널 믹스)

표준화 원칙 3. 대응 채널 유형 및 기준 정의

대응 채널 유형

리드 우선순위에 따른 대고객 대응 채널은 크게 3가지 항목으로 구분, 관리한다.
1. Offline (상담사)
2. Offline (딜러)
3. Online (자동화 캠페인)

대응 채널 믹스 및 시나리오 정의

대응 시나리오 1. Hot Lead + Flag (O)
· 대응 채널 : 총 3개 채널 활용 (Offline (상담사) + Offline (딜러) + Online (자동화 캠페인))
· 대응 시간 (최초) : 최초 리드 발생 후 12시간 이내
· 대응 목표 : “계약 · 구매” + “관심 유도”
· 대응 방식 : (1선 대응) Online (메시지)/Offline (딜러) 선 대응 → (2선 대응) 미 반응 시 Offline (상담사) 후속 접촉 대응
· 상세 시나리오 :
notion image
대응 시나리오 2. Hot Lead + Flag (X)
· 대응 채널 : 총 3개 채널 활용 (Offline (상담사) + Offline (딜러) + Online (자동화 캠페인))
· 대응 시간 (최초) : 최초 리드 발생 후 24시간 이내
· 대응 목표 : “계약 · 구매” + “관심 유도”
· 대응 방식 : (1선 대응) Online (메시지)/Offline (딜러) 선 대응 → (2선 대응) 미 반응 시 Offline (상담사) 후속 접촉 대응
· 상세 시나리오 :
notion image
대응 시나리오 3. Warm Lead
· 대응 채널 : 총 2개 채널 활용 (Offline (상담사) + Online (자동화 캠페인))
· 대응 시간 (최초) : 최초 리드 발생 후 12시간 이내
· 대응 목표 : “방문 · 시승” + “관심 유도”
· 대응 방식 : Offline (상담사) 접촉 및 관심 정보 상세화 → Offline (딜러) 할당 및 Follow-up 요청
· 상세 시나리오 :
notion image
대응 시나리오 4. Cold Lead
· 대응 채널 : 총 1개 채널 활용 (Online (자동화 캠페인))
· 대응 시간 (최초) : 최초 리드 발생 후 12시간 이내
· 대응 목표 : “방문 · 시승”
· 대응 방식 : "시승 · 견적 유도" 메시지 발신 → Warm Lead 유도 및 이관 처리
· 상세 시나리오 :
notion image
 

관리 및 고도화


리드 스코어링 집계 및 관리

1. 리드 스코어링 집계를 위한 세부 규칙 정의
CRM 시스템 도입 유무에 따라 스코어링 관리 기준은 상이하게 관리한다.
a. CRM 시스템 도입 및 활용하는 경우
· 시스템 내 리드 정보를 관리하는 객체 (Object)에서 특정 정보 입력에 따른 합산 수치를 가산 할 수 있도록 규칙을 정의한다. 이 때, 스코어링 대상의 “정보 항목 (Field)”을 정의하고 각 항목이 어떠한 “방정식 (Formulation)”으로 산술 되어야 하는지 공식을 정의해야 한다.
· 합산 수치에 따라 리드 세부 유형 (Cold, Warm, Hot) 이 할당될 수 있도록 매핑 기준을 별도 정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합산 수치의 구간 별로 유형을 배정할 때는 아래와 같은 규칙을 정의해야 한다. (If Score Range = 5~10, Lead Type = “Cold”)
· 또한, 긴급도 높은 리드 별도 관리를 위한 Flag 도 시스템 내 매핑 기준을 정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리드 등록 고객 (Account)이 차량 보유 고객일 경우, Flag 가 표기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규칙을 정해야 한다. (If Lead Account = Owner, Flag Field = Checkbox [v])
b. CRM 시스템 미도입으로 수작업 관리하는 경우
· 시스템 없이 수작업으로 모두 관리하는 경우, 위 [A. CRM 시스템 도입 및 활용하는 경우]에 서술한 모든 절차를 법인 자체적으로 산술 및 관리해야 한다.

대응 시나리오 Action Rule 설계 및 관리

1. 채널 믹스에 따른 대응 시나리오 설계 및 시스템 규칙 정의
대응 시나리오 설계에 따라 고객 접촉 활동은 CRM 시스템 도입한 경우에 한정하여 관리한다. 별도의 CRM 시스템 없이 수작업 관리하는 법인은 자동화 기반의 대응 체계를 구현하기에는 수기로 연계해야 할 단위 업무가 많아 투입 공수 대비 운영 효율이 낮으므로 미적용한다.
a. 대응 시나리오는 위 실행방법론 중 대응 채널 유형 및 관리 기준 (채널 믹스)↗에 따라 총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설계한다. 이 때, 각 유형은 CRM 시스템과의 연계로 할당 주기(배치)에 따라 대상자 정보를 수신한다.
b. 대상자 정보 수신 시, 리드 유형 (Cold, Warm, Hot)에 따라 상이한 시나리오 Journey 를 실행하며, 이 때 Journey 는 CRM 시스템과 연계하여 사전 구축 되어야 한다.
c. 각 시나리오는 Journey 외 Offline(상담사) 또는 Offline(딜러)와의 고객 접점이 발생하므로 상담사와의 연계를 위한 규칙 (Queue*) 및 딜러 할당 규칙을 사전 정의해야 한다.
*Queue : 인입 요청 건에 대한 상담사 배정 규칙 / 딜러 할당 규칙 (위치 기반 또는 지정)